티스토리 뷰
목차
🔥 많이 본 정책
청년구직지원금 🧑🎓
긴급복지 생계비 💊
임대료 지원제도 🏠
전기요금 할인 🔌
근로장려금 💸
생계급여 👪
청년 월세지원 🏡
출산장려금 👶
아동수당 🧒
한부모 가정 지원 👩👧
청년내일저축계좌 💰
문화누리카드 🎭
장애인연금 ♿
산모 건강관리 🍼
희망두배 청년통장 📈
에너지바우처 💡
소상공인 손실보전 📉
공공근로 수당 👷
재난 긴급지원금 ⚠️
청년도약지원금 🚀
하위 도메인의 주소, https와 http의 주소는
DNS인증을 통해 모두 사용가능하게 되었
습니다. 도메인 공급업체에 방문하셔서
DNS 수정으로 간단하게 처리 됩니다.
구글 서치콘솔(google search console)이
새롭게 변화한 모습니다.
위의 '+ 속성추가'를 누릅니다.
왼쪽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계속' 버튼 클릭
도메인 소유권 확인을 위해 DNS레코드
설정합니다. 이는 도메인 공급업체에 접속
하고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후 2번째로
'복사'버튼을 클릭하고 도메인사이트 이동.
가비아를 예를 들어 설명해 봅니다.
파란색의 '관리툴' 버튼을 클릭합니다.
부가 서비스, 네임서버, DNS 레코드 설정,
DNS 호스트....이렇게 있습니다. 이 가운데
'DNS 레코드 설정' 옆에 '설정' 버튼 클릭!
DNS 설정 항목에서 DNS정보가 보입니다.
이후 '설정' 버튼 클릭합니다.
위와 같이 레코드 개수가 2개가 보입니다.
지금은 '레코드 추가'를 눌러 정보를 추가.
첫번째 항목 '타입'에서는 'TXT' 선택합니다.
'호스트'에는 @를 입력합니다. '값'에는 앞
에서 복사해 놓은 것을 붙혀넣기(ctrl+v)를
해서 입력하면 됩니다. 'TTL' 값은 3600
으로 하고 저장합니다.
소유권 확인 실폐가 나오는데
이는 일정시간 지나야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루 정도 지나면 소유권확인이
이루어져 녹색창이 뜹니다.